-
나도 카페인 중독일까?? 자가진단법별별정보 2023. 3. 22. 13:53
안녕하세요 비비에요! 다들 커피... 좋아하시죠? 저도 커피를 너무너무 좋아해서 많이 마실 땐 하루 4잔-5잔도 마셨던 적이 있어요. 커피는 단순한 기호를 넘어 현대인들의 소통 문화가 된 지 오래입니다. 카페에서 수다 떠는 사람들, 커피를 마시며 회의하는 사람들 많이 보실 수 있죠. 일상의 여유를 주기도 하고 일시적 각성 효과도 주는 카페인은 졸음을 깨기 위해 마시는 차, 커피, 초콜릿 등에 특히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게 되는데요.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각성집중력을 높이고, 피로를 낮춰주는 순기능이 있는데, 습관처럼 즐기다 보면 카페인에 중독되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기도 합니다. 저 또한 카페인을 줄여보고자 카페인 중독 자가진단 및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카페인 중독>
지속적으로 카페인을 복용하는 경우나 과다 복용으로 인해 육체적 또는 정신적인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카페인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하루 권장 섭취량을 지켜야 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권고하는 카페인은 성인 기준 최대 400mg 이하입니다.<카페인 중독 증상>
카페인 금단현상은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은 지 12∼24시간이 지나면 발생합니다. 카페인을 하루 500mg 이상 섭취한 사람이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금단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평일 하루 1∼2잔을 꾸준히 마신 사람도 이와 같은 부작용을 겪을 수 있습니다.
두통
지속적으로 커피를 섭취하다가 갑자기 중단할 경우 두통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엔 깨지는 듯한 두통이 24시간 내내 증상으로 나타났고 이후엔 씻은듯이 나아졌습니다.손 떨림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근육의 수축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카페인을 과다 복용할 경우 손 떨림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피로감
카페인을 섭취하여도 피로감이 느껴진다면 카페인 중독을 의심해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일시적으로 활기 및 에너지를 끌어올리지만 지속적으로 복용하여 과다 섭취하는 경우엔 피로가 축적되어 피로감이 개선되지 않게 됩니다. 커피를 마셔도 잠이 달아나지 않네~라는 말이 중독 현상이라는 거죠.
소화불량
위산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과다 섭취하는 경우 소화기관에도 영향을 미쳐 위산 촉진 및 소장이 원활하게 활동하지 못해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이외에도 근육통, 집중력 저하, 신체와 정신을 긴장하게 만들기 때문에 불안감과 흥분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카페인 중독 자가진단법>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진단통계편람(DSM)에 따르면 육체적, 정신적 질환이 없고 하루 카페인 섭취량이 250mg 이상인 사람이 다음 12가지 증상 중 5개 이상에 해당하면 카페인 중독이 의심된다고 합니다.
1. 안절부절못함 2. 신경과민 3. 흥분 4. 불면 5. 안면 홍조 6. 소변이 자주 마려움 7. 소화불량 등 소화기 장애 8. 두서없는 사고와 언어 9. 근육 경련 10. 주의 산만 11. 지치지 않음 12. 맥박이 빨라지거나 불규칙함
5개 이상일 경우엔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가에게 진단을 받아 그에 따른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페인 중독 예방법>
습관처럼 커피를 마시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피로감을 개선하기 위해 커피를 찾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충분한 휴식 및 숙면을 통해 피로를 덜어주고 스트레스도 함께 관리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카페인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장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전문가들은 카페인 섭취를 갑자기 중단하는 것보다 1∼2주에 걸쳐 서서히 섭취량을 줄여 나가는 게 좋다고 말합니다. 커피를 줄이는 과정에서 디카페인 음료를 함께 마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내려 마시는 커피는 가능한 한 짧은 시간 안에 내리고, 티백도 짧게 우려내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식품을 구입할 때 카페인 함량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별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홈택스에 챗 GPT 도입 (인공지능 세무상담 서비스) (0) 2023.03.22 베이징 10년만의 최대 황사...우리나라에 끼치는 영향 원인과 대책 (0) 2023.03.22 티눈과 사마귀의 차이점 (모양, 색깔, 통증, 전염 유무 등등) (0) 2023.03.20 진드기에 의해 감염되는 불치병 라임병이란? (저스틴비버, 에이브릴라빈, 욜란다하디드, 지지하디드, 벨라하디드, 지미워커 투병) (0) 2023.03.20 북한 국조 참매에서 까치로 변경, 한국의 국조, 세계 각국의 국조 (0) 2023.03.18